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페이지 정보
ore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52 Views 25-04-20 22:32 제품문의본문
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AP=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 기간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러시아 측이 먼저 '30시간 휴전'을 기습 선언하자 우크라이나 측은 '30일 휴전'으로 맞받아쳤다. 미국 측 중재도 좀처럼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양측이 입장 차를 좁히고 휴전을 성사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현지시간) AP 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과 면담 중 "러시아는 (모스크바 현지시간으로) 19일 오후 6시부터 21일로 넘어가는 자정까지 30시간 동안 부활절 휴전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크라이나 측도 우리의 본보기를 따를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했다. 이 같은 기습적 휴전 선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종전 중재 중단 가능성을 언급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 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린 '당신은 바보다.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길 희망한다. 우린 (전쟁의) 끝을 보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의 일방적인 휴전선언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취지의 입장을 내놨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엑스(X)에 올린 글에서 "(푸틴이 언급한) 30시간은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을 하기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30일이 평화를 시도할 기회"라며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볼로다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2월 28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설전을 벌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 트럼프 "24시간 이내 종전" 호언장담, 휴전은 안갯속 이런 가운데 미국이 휴전 중재자로서 생각보다 힘을 못 쓰고 있다는 회의적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트럼프가 '24시간 이내 종전'을 호언장담해온 것과는 대조적인 분위기라는 것이다. 1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 트럼프 행정부는 종전을 밀 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AP=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 기간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러시아 측이 먼저 '30시간 휴전'을 기습 선언하자 우크라이나 측은 '30일 휴전'으로 맞받아쳤다. 미국 측 중재도 좀처럼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양측이 입장 차를 좁히고 휴전을 성사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현지시간) AP 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과 면담 중 "러시아는 (모스크바 현지시간으로) 19일 오후 6시부터 21일로 넘어가는 자정까지 30시간 동안 부활절 휴전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크라이나 측도 우리의 본보기를 따를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했다. 이 같은 기습적 휴전 선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종전 중재 중단 가능성을 언급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 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린 '당신은 바보다.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길 희망한다. 우린 (전쟁의) 끝을 보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의 일방적인 휴전선언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취지의 입장을 내놨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엑스(X)에 올린 글에서 "(푸틴이 언급한) 30시간은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을 하기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30일이 평화를 시도할 기회"라며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볼로다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2월 28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설전을 벌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 트럼프 "24시간 이내 종전" 호언장담, 휴전은 안갯속 이런 가운데 미국이 휴전 중재자로서 생각보다 힘을 못 쓰고 있다는 회의적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트럼프가 '24시간 이내 종전'을 호언장담해온 것과는 대조적인 분위기라는 것이다. 1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 트럼프 행정부는 종전을 밀어붙이려 크림반도에 대한 러시아 영유권을 인정해주는 방안까지 고려 중이다. 크림반도
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