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OS :::::

질문과 답변

한·미 1분기 모두 역성장 속 엇갈린 파장트럼프

페이지 정보

ore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14 Views  25-05-05 12:35  제품문의

본문

한·미 1분기 모두 역성장 속 엇갈린 파장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4월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트럼프 상호관세 폭탄’이 지난 1분기(1~3월) 공히 역성장을 기록한 한·미 양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사뭇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모두 국민경제의 ‘순수출’ 항목에서 수입품 규모가 큰 폭으로 변동했는데, 미국 경제에선 성장률을 깎아 먹고, 한국 경제에선 그나마 성장률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미 상무부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발표한 지난 1분기 미국 경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0.3%(속보치)는 ‘연율 환산치’이다. 연율 환산치는 전기 대비 1분기 성장률이 올해 4분기까지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나오는 연간 성장률을 뜻한다. 연율 환산치를 ‘분기 성장률’로 재환산을 해보면 미국의 지난 1분기 성장률은 -0.08%다.‘미국 경제 역성장 충격’을 가져온 가장 큰 요인은 급증한 외국산 상품(goods) 수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시장에 들어오는 전 세계 수입품에 대규모 관세부과를 시행하기 이전에 미국 기업들이 재고 확보를 위해 대량 수입에 나선 영향이다. 1분기 수입 규모는 전분기보다 50.9% 급증했다.수입이 성장률에 미친 영향은 ‘지출항목별 성장 기여도’를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미 상무부 자료에서 개인소비의 기여도는 1.21%포인트(이하 연율 기준), 민간투자 3.60%포인트, 정부 지출 -0.25%포인트, 수출입무역부문 -4.83%포인트다. 개인소비와 민간투자는 성장을 끌어올리는 구실을, 정부와 무역은 끌어내리는 구실을 한 셈이다.특히 수출입무역부문(-4.83%포인트)을 보면 수출은 0.19%포인트였는데 수입(상품과 서비스 수입)이 5.03%포인트였다. 수입이 지디피 성장률을 5.03%포인트 깎아 먹은 셈이다. 특히 외국산 상품 수입의 성장기여도는 4.79%에 이르렀다. 수입은 금액이 증가하면 지디피 집계에서 그만큼 마이너스로, 반대로 수입금액이 감소하면 그만큼 지디피에서 플러스로 집계된다. 외국산 상품을 많이 수입할수록 국내 생산을 위축시킬 뿐 아니라 국내에서 이미 생산된 상품도 시장에서 덜 팔리게 만들기 때문이다.우리나라 쪽을 보면, 지난달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 경제의 1분기 실질 성장률은 -0.2%(전분기 대비)다. 미국의 성장률 수치 공표 방식인 연율로 환산하면 -0.8%가량 된다.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를 보면 내수는 -0.6%포인트고 순수출은 한·미 1분기 모두 역성장 속 엇갈린 파장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4월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트럼프 상호관세 폭탄’이 지난 1분기(1~3월) 공히 역성장을 기록한 한·미 양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사뭇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모두 국민경제의 ‘순수출’ 항목에서 수입품 규모가 큰 폭으로 변동했는데, 미국 경제에선 성장률을 깎아 먹고, 한국 경제에선 그나마 성장률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미 상무부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발표한 지난 1분기 미국 경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0.3%(속보치)는 ‘연율 환산치’이다. 연율 환산치는 전기 대비 1분기 성장률이 올해 4분기까지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나오는 연간 성장률을 뜻한다. 연율 환산치를 ‘분기 성장률’로 재환산을 해보면 미국의 지난 1분기 성장률은 -0.08%다.‘미국 경제 역성장 충격’을 가져온 가장 큰 요인은 급증한 외국산 상품(goods) 수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시장에 들어오는 전 세계 수입품에 대규모 관세부과를 시행하기 이전에 미국 기업들이 재고 확보를 위해 대량 수입에 나선 영향이다. 1분기 수입 규모는 전분기보다 50.9% 급증했다.수입이 성장률에 미친 영향은 ‘지출항목별 성장 기여도’를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미 상무부 자료에서 개인소비의 기여도는 1.21%포인트(이하 연율 기준), 민간투자 3.60%포인트, 정부 지출 -0.25%포인트, 수출입무역부문 -4.83%포인트다. 개인소비와 민간투자는 성장을 끌어올리는 구실을, 정부와 무역은 끌어내리는 구실을 한 셈이다.특히 수출입무역부문(-4.83%포인트)을 보면 수출은 0.19%포인트였는데 수입(상품과 서비스 수입)이 5.03%포인트였다. 수입이 지디피 성장률을 5.03%포인트 깎아 먹은 셈이다. 특히 외국산 상품 수입의 성장기여도는 4.79%에 이르렀다. 수입은 금액이 증가하면 지디피 집계에서 그만큼 마이너스로, 반대로 수입금액이 감소하면 그만큼 지디피에서 플러스로 집계된다. 외국산 상품을 많이 수입할수록 국내 생산을 위축시킬 뿐 아니라 국내에서 이미 생산된 상품도 시장에서 덜 팔리게 만들기 때문이다.우리나라 쪽을 보면, 지난달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 경제의 1분기 실질 성장률은 -0.2%(전분기 대비)다. 미국의 성장률 수치 공표 방식인 연율로 환산하면 -0.8%가량 된다.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를 보면 내수는 -0.6%포인트고 순수출은 0.3%포인트다.순수출 항목에서 상품·서비스 수

답변목록